졸업 후 진로
생명공학과를 이수한 졸업생들은 졸업 후에는 국가 및 산업체의 생명공학 관련 연구소(생명공학 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국립보건 연구원, 식품개발 연구원 등), 제약업체, 발효 및 화장품관련 업체, 농업관련 업체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생물신소재 개발, 천연자원의 고부가가치화 및 가공 등을 수행하는 연구소 및 기업체로 다양하게 진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학원에 진학하여 학위 취득 후 대학 및 연구소에서 교수 및 연구원으로 종사할 수 있습니다.구분 | 생명공학과 졸업생 취업현황 |
---|---|
국공립연구기관 / 정부출연 연구소 |
한국생명공학 연구원(KRIBB), 국립과학 수사연구원, 질병관리본부, 한국식품 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 연구원(KBSI), 보건산업진흥원, 한국과학기술 연구원(KIST), 과학기술처 산하 연구기관 등
|
산업체 (바이오, 제약, 식품, 화장품) |
바이오 산업 :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SK-Bioscience. 제넥신, 마크로젠, 휴온스, 메디톡스, 씨젠, 아스트라제네카,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등
제약 계열 : 한미약품, 한국존슨앤존슨, 종근당, 녹십자, 중외제약, 신일제약 등 식품 계열 : 농심, CJ, 삼양, 오리온, 두산, 롯데, 대한제당, 오뚜기 등 화장품 계열 : 비긴코스메틱, 아모레퍼시픽 등 |
공무원 |
보건복지부 및 산하기관 (보건환경연구원 등), 농림부 및 산하기관
|
의료기관 |
국립 암센터, 서울대병원, 서울 아산 병원, 차병원, 경희대학병원, 가톨릭대학병원, 아주대학병원 외 다수
|
연구소/기업 |
보건산업 진흥원, 농수산식품기술기획 평가원, 식품의약품 안전처, 농수산물 유통공사, 농림수산검역 검사본부, 화학연구원 등
|
대학원 진학 |
석·박사과정 진학, 해외유학, 의학전문대학원, 한의과대학 등
|
대학교수 |
Johns Hopkins Univ., 동경이과치과대학,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아주대학교, 제주대학교, 우석대학교, 원광대학교, 조선대학교, 한림대학교
|
기타 |
특허 법률사무소, 창업(바이오 산업체, 시약기기업체) 외
|
자격증
- 생물공학기사
- 생물공학은 의약, 화학, 환경, 식품, 에너지 및 자원, 농업 및 해양, 생산공정 및 엔지 니어링, 검정 및 측정 시스템에 이르기 까지 매우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생물공학분야의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생물공정기술의 개발과 생물제품의 생산을 담당하게 하기 위해 전문지식과 풍부한 실무경험을 갖춘 인력양성이 요구됨에 따라 자격 제도 제정
- 생물분류기사(식물, 동물)
- 21세기 생물산업(BT) 시대에 대비 자생실물의 실체 및 유용성을 파악하여 국가경쟁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자생생물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연구사업을 통한 분류학적 실체파악, 생물표본, 생체재료, 유전자원 재료의 확보, 동정과 체계적 관리, 유용성 및 희귀성 평가 등의 업무에 종사할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함
- 화학분석기사
- 분석화학 및 기기분석분야의 제반 환경의 발전을 위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춰 인재를 양성하고자 자격제도 제정
- 수질환경산업기사
- 수질오염이란 물의 상태가 사람이 이용하고자 하는 상태에서 벗어난 경우를 말하는데 그런 현상 중에는 물에 인, 질소와 같은 비료성분이나 유기물, 중금속과 같은 물질이 많아진 경우 수온이 높아진 경우 등이 있다. 이러한 수질오염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 이에 따른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을 관리 보전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수질오염에 관한 전문적인 양성이 시급해짐에 따라 자격제도 제정.
- 축산기사
- 육류사용의 증가에 따른 축산업 규모의 확대와 아울러 가축 사육의 고도기술이 필요함에 따라 가축을 합리적으로 사육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함으로써 품질 좋고 안전한 축산물을 생산 공급하고, 국제경쟁에 대처할 수 있는 축산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자격제도 제정.
- 자연생태복원기사
- 자연생태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환경오염과 자연생태계 파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며, 훼손된 생태계를 환경친화적으로 복원하고, 생태계 위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할 목적으로 제정됨.